2023/10/23 4

강릉시 강동면 관련 도서 서적 (강릉 고을 땅 이름 유래)

강릉 고을 땅이름 유래 김기실 지음 1. 강동면(江東面) 강동면은 본래 명주군 2읍(묵호읍· 주문진읍) 7면의 하나로 강릉군 자가곡면 이었다. 자가곡면은 심곡진·고성동·등명· 정동진·산성우·임곡·안인진·안인·안인염전·안인소동·모전·상시동·운산·신석·하시동·월호평의 16개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군면 폐함에 따라 심곡·정동진·산성우·임곡·안인·안인진·모전·상시동·하시동·운산의 10개리로 개편되고, 1983년 2월 15일 읍면행정구 역조정으로 언별리가 구정면에서 편입되었다가 1989년 1월 1일 운산리가 강릉시로 편입되었다. 강동은 본래 잰골(可谷)이었는데, 1916년 군선강 동쪽이 된다고 하여 강동으로 고쳤다. 면내에는 만덕봉에서 발원한 군선강이 흐르는데, 이 물은 언별리 단경골에서 발원하여 모전리, 임..

강릉시 강동면 관련 도서 서적 (강릉의 문화재 옛이야기를 전하다)

강릉의 문화재 옛이야기를 전하다 강릉시 오죽헌/시립박물관 월 초하룻날 대관령에서 모시고 온 산신을 명주부사에 모셔 기쁘게 해드리는데 그때 모시는 산신이 김유신이라는 내용이다. 현재 대관령 산신당에 모신 신을 김유신 이라고 특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기록이자 강릉의 역사와 풍속을 이해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기록이다. 형식과 편집에 있어 당대의 관행을 따르지 않아 참신하다는 평가를 받는 그의 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甑藁』에는 강릉의 풍토, 민속, 역사 등을 이해하는데 있어 긴요한 자료들이 많다. 허균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도서관인 호서장서각을 열기도 했다. 강릉부사 유인길은 임기를 마치고 돌아가기 전 공납하고 남은 명삼明蔘 32냥을 허균에게 주었다. 이를 사사로이 쓸 수 없다고 생각한 허균은 고을의 학자들과..

강릉시 강동면 관련 도서 서적 (천년 솔향의 토박이 소리)

쉰일곱 뿌리의 강릉이야기 천년 솔향의 토박이 소리 저자 김동철 성원인쇄문화사 27 군선강과 명선문 강릉에도 강이 있다고 어른들께 들은 적이 있는데 그것이 유일하게 강이라는 이름으로 흐르고 있는 것은 군선강이다. 군선강은 강동면 언별리 단경골에서 발원하여 동북쪽으로 흘러 모전리를 지나 안인리 관마을 앞에서 임곡천과 합류하여 해령산 옆 명선문을 통해 바다로 나간다. 이곳은 경치가 아름다워 신라 때 화랑인 영랑, 술랑, 남석랑, 안상랑이 놀았던 곳이라 하여 군선강이라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江은 규모 및 길이 등으로 급수에 따라 명칭이 정해진다고 한다. 그런데 강릉의 군선강은 1급도 아닌 2급 하천인데 왜 이라고 했을까? 한번쯤 생각해보아야 할 과제다. 명주군왕의 성지(굴산사터)에서 화랑(영랑, 술랑, 남석랑..

강릉시 강동면 관련 도서 서적 (강릉의 고을과 옛길)

강릉의 고을과 옛길 저자 김기설 문왕출판사 2 강릉의 고을과 옛길 2. 강동면 1) 고을 ... 89 가둔지/89, 가마떼기/90, 갈보다니/91, 관터/92, 단경골/193, 대수원이/95, 대포동/96, 돗골/97, 둔짓말/99, 등멍이/100, 퍁지/101, 면소거리/102, 밝개(명계동)/105, 밤나무쟁이/106, 본말/107, 산성우리 1109, 송천/110, 숲실/112, 시동/113, 어정거리/114, 역말/115, 오리동/117, 장거리/118, 장구숲/119, 장제기/120, 재밑/121, 정동진 /123, 짚일/124, 찬샘말/125, 큰골/126, 피내/128 2) 옛길 ... 129 감산재/129, 쾌방산재/129, 괴일재/129, 노루목재/130, 다래재/130 당산재/130, ..